top of page

도서

​숙명 여성의 달에서 페미니즘 도서 12권을 소개합니다.​

책 표지를 클릭하면 중앙도서관에 구비된 해당 도서의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함께 읽어 봅시다. :)

​입문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08.png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이민경  |  봄알람
여성혐오가 만연하고 여성 살해와 폭행에 대한 뉴스가 끊이지 않는 요즘, 여성 혐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는 말에 어떻게 대답하면 좋을까? 또는 여성혐오 문제를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면? 차별에 무지한 사람에게 당신의 앎을 꼭 증명하고 인정받으려 애쓸 필요는 없다! 성차별을 주제로 한 대화에서 여성들이 더 이상 일방적으로 참거나 고통받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쓰인 책.

​심화

가부장제의 창조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03.png

거다 러너  |  당대
가부장제가 어디서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상당 부분 해소시켜줄 수 있는 책. 고대 서양사와 성서 내용을 기반으로 가부장제의 역사적 흐름과 가부장제가 현재에 이르기까지 발전된 양상을 잘 설명해주며, 읽고 나면 일상에 숨 쉬듯 가부장제가 녹아 있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게 된다. 

​이공계

탈코르셋:도래한 상상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01.png

이민경  |  한겨레출판
현 시대의 1020 여성들에 의해서 시작되고 널리 퍼지게 된 '탈코르셋' 운동에 대한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페미니즘 연구자로서 객관적으로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페미니스트 활동가로서 탈코르셋 운동에 의해 작가가 변화해 가는 과정을 진솔하게 담아낸 책. 탈코르셋에 대해 궁금하거나, 이에 대해 의문을 가져 본 이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명쾌한 방향성을 얻어 갈 수 있을 것.

성의 변증법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06.png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  꾸리에
성계급이 경제적 계급과 문화양식에 영향 을 미쳤다는 것, 사랑을 권력으로 분석한 것 등 인간의 모든 것을 권력관계의 반영으로 분석하였고, 오늘날 첨예한 화두가 되고 있는 출산과 과학의 문제를 예고한 페미니즘의 대표적 저서

공학하는 여자들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04.png

손소영, 임혜숙, 최진희, 이레나, 김정선  |  메디치미디어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들로 이루어진 다섯 명의 저자는 공학에 몸을 담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고도 자세하게 풀어낸다. 저자들의 활약상은 빅데이터, 칩 개발, 환경 독성, 의료기기, 영양역학 다섯 가지 분야에서 펼쳐지며, 그 속에는 저자들이 직접 겪은 공학자 여성으로서의 어려움과, 일과 삶의 지혜가 담겨 있다.

호르몬의 거짓말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02.png

로빈 스타인 델루카  |  동양북스

한 달 주기로 여성들은 호르몬 때문에 신경질을 내고, 변덕을 부리는 미친 사람이 된다는 유구한 신화는 여전히 만연하다. 지금껏 우리가 과학으로 믿고, 들었을 뿐만 아니라 직접 말하고 다녔던 이러한 호르몬에 대한 미신을 과학적으로 무너트리는 책. 거짓된 호르몬 신화가 여성을 어떻게 억압해왔는지, 진실로 호르몬은 여성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다면 반드시 읽어볼 것을 추천. 

문학

이갈리아의 딸들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10.png

게르 브란텐 베르그  |  황금가지

현대 사회의 여성과 남성의 위치가 뒤바뀐 가상 세계를 그린 소설. 성역할부터 동성애, 성(性)적 상징체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파격적으로 뒤집은 작가의 재치와 디테일이 엿보인다. 여성만을 위한 유토피아인 '이갈리아'는 독자로 하여금 고착화된 성역할의 기원과 불평등성에 대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질 수 있게 한다.

내게 무해한 사람

KakaoTalk_20210228_224332818.png

최은영  |  문학동네

가족이나 친구, 혹은 연인이나 동료 등의 이름으로 연결된 여성들간의 관계와 연대를 그려낸 책이다. 소설 속 여성들은 미숙했던 시절 서로가 서로에게 낸 생채기를 되돌아보며 그 과정에서 각자가 지닌 성장통을 극복해나간다. 

사회문화

우리가 우리를 우리라고 부를 때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09.png

추적단 불꽃  |  이봄

N번방 최초 보도자이자 최초 신고자인 두 대학생의 르포 에세이. N번방 사건의 실체를 밝히고 공론화하기까지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피해자와 연대하고, 디지털 성범죄에 취약한 우리나라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

여자는 왜 자신의 성공을 우연이라 말할까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07.png

밸러리 영  |  갈매나무

“물론 난 성공했어요. 그런데 어쩌다 그렇게 됐냐면요...” 여자들은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유능함을 부정하고 애써 이룬 성공을 변명할까? 성공을 소유하지 못하는 여성들의 가면 증후군에 대한 탐구! 여성들의 자기불신을 극복하고 자신의 능력과 재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

라이프

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

KakaoTalk_20210227_211456116_05.png

김진아  |  바다출판사

"나는 꽃이 아니다. 불꽃이다."의 원작자인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김진아 작가님의 야망 에세이. '매력적이고 쿨한 골드미스, 남자들이 욕망하는 페미니스트'라는 허구적 이미지에 도취해있던 과거를 반성하고, 경력 단절 및 탈혼을 겪으며 가부장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솔직하게 고백한다. 광고 업계에서 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여성이 온전히 자신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야망을 심어주는 책.

질 좋은 책

KakaoTalk_20210227_211456116.png

정수연  |  위즈덤 하우스

우리도 잘 알지 못했던 우리 몸에 대해 정확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해주는 실용서. 수많은 여성들이 궁금해했으나, 어디에서도 제대로 알려주지 않았던 이야기를 여성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명해준다. 이 책을 통해 정혈부터 성병, 각종 건강에 대한 문제까지 현 사회가 터부시해왔던 여성의 몸에 대해 알 수 있다.

  • 화이트 페이스 북 아이콘
  • White Instagram Icon
  • White YouTube Icon

© 숙명여자대학교 제53대 중앙비상대책위원회 '눈보라' 연대복지국 산하 숙명여성의달준비위원회

bottom of page